본문 바로가기

영상글

<내일은 내일의 해가 뜰 것이다>


(못잊어)

중국의 한문원서를 번역할 때 종종 오역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 중 하나는 한문에 띄어쓰기가 없기 때문이다. “아버지가 방에 들어가신다.”는 문장을 띄어쓰기를 잘못하면 “아버지 가방에 들어가신다.”가 되듯 한문을 번역할 때 띄어쓰기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뜻이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이다.

 

 

우리도 오랜 옛날부터 줄곧 한문만 쓰다가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시자 처음에는 중국한문의 표기방식을 그대로 차용하여 띄어쓰기가 없었다. “나라 말씀이 중국과 달라 문자와 서로 맞지 않으니...”로 시작되는 훈민정음 서문부터 띄어쓰기도 없고 쉼표도 없는 문장이다.

 

 

 

이렇게 띄어쓰기도 없고 쉼표도 없는 문장을 읽는 것은 매우 불편한 일이다. 이런 불편을 개선해 준 사람이 바로 미국인 호머 헐버트 박사(Homer hulbert:1863-1949)였다. 헐버트박사는 우리 한글이 띄어쓰기를 하지 않아 불편하다는 사실을 알고 영어식으로 띄어쓰기를 하도록 계도했다. 헐버트박사가 그렇게 계도해 주지 않았더라면 우리는 아직도 띄어쓰기와 쉼표가 없는 불편한 중국식 문장을 그대로 쓰고 있을지도 모른다. 중국한문은 지금도 띄어쓰기와 쉼표가 없는 것을 보면 능히 그럴 수 있었을 것이다.

 

 

 

당시 23세의 청년이었던 헐버트 박사는 조선의 청년들에게 서양문화와 영어를 가르쳐달라는 조선정부의 요청을 받고 1886년, 제물포를 통해 조선에 입국했다. 그렇게 조선에서의 생활을 시작한 헐버트 박사는 조선인보다도 조선을 더 사랑했던 사람이다. 그는 조선에 들어온 지 3년 후인 1889년에 “선비와 백성 모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지식”이라는 뜻의 『사민필지(士民必知)』를 저술했는데 이 책은 순 한글로 만들어진 조선최초의 교과서라 할 수 있다.

 

 

 

미국인 선교사로서 짧은 시간에 한글학자가 된 그는 미국에 한글교본을 출간하는 등, 다수의 논문을 통해 한글의 우수성을 알리기 시작했고 서재필, 주시경 등과 함께 독립신문을 발행했는데 그 신문은 최초로 띄어쓰기를 한 한글신문이었다. 누구보다 한글의 우수성을 잘 알고 있었던 헐버트박사는 자신의 저서를 통해 “중국인들이 익히기 어려운 한자를 그만 버리고 한글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라고까지 말할 정도였다.

 

 

 

그랬던 그는 1949년 8월 5일, 서울에서 눈을 감았고 대한민국 정부는 1949년 8월 11일, 역사상 최초로 외국인 사회장을 거행한 후 현재의 양화진(楊花津) 외국인 묘지에 안장했다. 그리고 1950년에는 외국인으로는 최초로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을, 또 2014년 한글날에는 대한민국 금관문화훈장을 추서했다. 그가 죽은 지 50년이 되는 1999년에 세워진 기념비에는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사랑했고 자신의 조국보다 한국을 위해 더 헌신했던 빅토리아풍의 신사 호머 헐버트 박사 이곳에 잠들다.”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글자에만 쉼표와 마침표가 필요한 것이 아니다. 우리의 삶도 마찬가지이다. 쉼표와 마침표가 없으면 숨 막혀 살지 못한다. 쉬는 일요일이 있어야 하고 친구들과 차 한 잔, 술 한 잔을 나눌 수 있는 여유가 있어야 한다. 하루일과도 쉼표와 마침표가 있는 과정이고 작품도, 여행도, 농사도 모두 쉼표와 마침표가 있는 과정이다. 쉼표 없는 인생, 마침표와 재출발이 없는 인생, 그런 인생은 지옥중의 상지옥이다. 우리말에는 “바쁠수록 둘러가라”는 속담이 있고 영어에는 “Slow and steady wins the race(천천히 꾸준히 가는 자가 이긴다)”라는 경구가 있다.

 

 

 

인생일장춘몽(人生一場春夢)이라고들 하지만 인생 100년은 결코 짧은 세월이 아니다. 아무리 힘들더라도 마음의 여유를 가지며 일하고, 한 가지 한 가지씩 마무리를 지어가면서 새 마음, 새 기분으로 도전해가자. 틀림없이 내일은 내일의 해가 뜰 것이다.

 

 

=옮겨온 글=

'영상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력자본  (0) 2021.12.11
당신의 바닥짐  (0) 2021.11.24
정말 가장 소중(所重) 한 것들  (0) 2021.10.14
百歲 時代의 얼굴  (0) 2021.10.05
노인고(老人考)  (0) 2021.10.02